PaaS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플랫폼 환경(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등)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하드웨어 및 인프라 설정, 보안 패치, OS 업그레이드 등 번거로운 시스템 관리는 PaaS 제공자가 수행하며, 개발자는 오직 애플리케이션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PaaS는 IaaS(서비스형 인프라)보다 상위 개념이며,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보다는 개발 유연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AI, DevOps, API Gateway, CI/CD 자동화 등과도 결합되어, 현대적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주요 특징
- 개발 중심 환경 제공: 운영체제, 런타임,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합 제공하여 개발자가 바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
- 자동 스케일링: 사용량 증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
- 멀티테넌시 지원: 하나의 플랫폼에 여러 사용자/조직이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음
- DevOps 연계 최적화: 배포 자동화, 테스트 자동화, 코드형 인프라(IaC) 등과 쉽게 통합됨
- 보안 및 유지보수 자동화: OS 패치, 미들웨어 업데이트 등을 플랫폼이 자동 수행장점
장점
- 개발 생산성 향상: 환경 세팅 없이 바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
- 운영 부담 경감: 서버 및 인프라 관리는 PaaS 제공자가 담당
- 비용 절감: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이 없어지고, 사용량 기반 요금제로 전환 가능
- 유연한 확장성: 앱 성능 요구에 따라 자동으로 자원 확장 가능
- 다양한 개발 언어 지원: Python, Java, Node.js, Go 등 다양한 언어에 최적화된 환경 제공
관련 용어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VM,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인프라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
- SaaS (Software as a Service):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에게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
- CI/CD (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통합 및 배포 자동화를 지원하는 개발 방법론
- Buildpack: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모듈
- Container Orchestration: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배치/확장하는 기술 (ex. Kubernetes)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Google App Engine: 서버리스 방식의 대표적인 PaaS, 자동 확장 및 고가용성 제공
- Microsoft Azure App Service: .NET, Node.js, Python 등 다양한 언어 지원의 PaaS 서비스
- Red Hat OpenShift: 컨테이너 기반 PaaS로, 기업 내 구축형/클라우드형 모두 제공
- SAP Business Technology Platform: ERP와 연계한 확장 플랫폼으로 SAP 생태계 특화
- MSAP.ai: AI 기반의 자동화 플랫폼으로, Openmaru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지원 플랫폼 (예시)
- 사용 사례
- 스타트업의 빠른 MVP 출시: 인프라 구성 없이 웹서비스나 모바일 백엔드를 단기간에 출시
- 금융권 앱 개발 환경 표준화: 보안 규정을 준수한 컨테이너 기반 개발 플랫폼으로 표준화
- 에듀테크 기업의 마이크로서비스 운영: 여러 앱을 PaaS에서 독립적으로 배포 및 운영
- AI 서비스 API 배포: AI 모델 추론 코드를 PaaS에 배포하여 API 형태로 외부 제공
- DevOps 자동화 파이프라인: CI/CD와 결합하여 코드 커밋 → 빌드 → 배포 자동화 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