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서버
물리서버 (Physical Server)는 가상화되지 않은 실제 하드웨어 기반의 컴퓨터로,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모든 자원을 단일 시스템 내에서 직접 운영하는 서버입니다. 가상 머신 없이 운영체제를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전통적인 서버 방식이며, 베어메탈 환경의 기반이 되며 클라우드 이전의 인프라 운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주요 특징
- 전용 하드웨어 기반: 서버 자원이 가상화되지 않고 단일 사용자가 직접 독점적으로 사용.
- 높은 성능과 안정성: 오버헤드가 없고, 물리적 자원을 100% 활용 가능.
- 보안 및 격리성 우수: 멀티테넌시 환경이 아니므로 다른 사용자와의 간섭이 없음.
- 가상화 가능: 필요에 따라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해 여러 개의 가상 서버로 확장 가능.
- 복구/유지 관리 필요: 장애 발생 시 직접적인 물리적 유지보수와 백업 체계가 요구됨.
- 초기 설치 작업: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설정 등 초기 세팅에 많은 리소스가 필요
장점
- 예측 가능한 성능: 물리 자원을 독점해 리소스 경합 없이 안정적 처리 가능.
- 보안성 강화: 외부 접속 통제가 쉬워 민감한 정보나 폐쇄망 환경에 적합.
- 고부하 워크로드에 유리: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AI 연산, 영상 처리 등에 적합.
- 직접 제어 가능: 하드웨어부터 운영체제, 네트워크 구성까지 모든 것을 자율 운영.
- 장기적인 안정성: 클라우드 종속 없이 자사 인프라 기반으로 지속 운영 가능
관련 용어
- 베어메탈(Bare Metal): 물리 서버에 직접 운영체제를 설치해 사용하는 방식.
- 가상 머신(VM): 물리 서버 위에 구동되는 논리적인 서버 인스턴스.
- 랙 서버 / 타워 서버: 설치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물리 서버 형태.
- 온프레미스: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나 서버실을 보유해 물리 서버를 직접 운용하는 방식.
- 서버 가상화: 물리 서버 위에 여러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할 사용하는 기술.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HPE ProLiant: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최적화된 범용 물리 서버.
- Dell PowerEdge: 고성능 연산과 확장성 중심의 물리 서버 라인업.
- Lenovo ThinkSystem: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에 강점을 가진 기업용 서버.
- Cisco UCS: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능을 통합한 모듈형 서버 인프라.
- Supermicro Servers: HPC, AI 등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버 제공.
- 사용 사례
- 사내 ERP 및 전사 시스템 운영: 인사, 회계, 물류 등 주요 업무 시스템 호스팅.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빠른 I/O 성능이 필요한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환경.
- AI·ML 연산 전용 서버: GPU 탑재 서버로 모델 학습 및 추론 작업 수행.
- 보안 민감 시스템: 정부, 금융기관 등의 폐쇄망 전용 서버로 활용.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클라우드 시스템 연동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