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Jenkins는 오픈소스 자동화 서버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CI/CD(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livery)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개발자가 코드를 변경하면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플러그인 기반으로 거의 모든 개발 툴과 연동 가능하다.
주요 특징
- 자동화 파이프라인: 코드 빌드, 테스트, 배포를 자동화하는 CI/CD 파이프라인 제공.
- 플러그인 기반 확장성: 2000개 이상의 플러그인을 통해 다양한 도구 및 환경과 연동 가능.
- 멀티 플랫폼 지원: Windows, Linux,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
- 분산 빌드: Master-Worker 구조로 빌드를 분산 처리하여 속도와 안정성 확보.
- 파이프라인 스크립팅: Groovy 기반의 선언적/스크립트형 파이프라인 지원.
- 오픈소스 및 커뮤니티 지원: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활발한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자료 제공.
장점
- 개발·배포 자동화: 반복적인 빌드/테스트/배포 작업 최소화.
- 유연성: 거의 모든 언어, 빌드 도구, 배포 환경과 연동 가능.
- 확장성: 분산 빌드 환경을 구성하여 대규모 프로젝트에도 대응.
- 신속한 피드백: 코드 변경 시 즉각적인 테스트 및 결과 확인 가능.
- 커뮤니티 지원: 풍부한 플러그인과 튜토리얼, 사례 자료 제공.
관련 용어
- CI/CD (Continuous Integration / Delivery): 코드 변경을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배포하는 프로세스.
- Pipeline: 빌드, 테스트, 배포 단계를 정의한 자동화 워크플로우.
- Node / Agent: Jenkins에서 빌드를 수행하는 작업자 서버.
- Plugin: Jenkins 기능 확장을 위한 모듈.
- Declarative / Scripted Pipeline: 선언적 또는 스크립트형 파이프라인 구성 방식.
- Master-Worker 구조: 빌드 명령을 Master가 관리하고 Worker가 실행하는 분산 구조.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Jenkins Pipeline: 코드 기반으로 CI/CD 파이프라인 정의 및 실행.
- Blue Ocean: 시각화된 파이프라인 UI 제공.
- Jenkins Plugins: Git, Maven, Docker, Slack, Kubernetes 등 다양한 연동 지원.
- Jenkins Agents: 분산 빌드 환경 구성.
- Jenkins X: Kubernetes 환경에 최적화된 CI/CD 확장판.
- 사용 사례
- 자동 빌드·테스트: 개발자가 코드 커밋 시 자동으로 빌드와 단위 테스트 수행.
- 배포 자동화: 스테이징/프로덕션 환경에 지속적 배포 수행.
- 멀티 프로젝트 관리: 여러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동시에 관리.
- DevOps 구현: 개발-테스트-배포 프로세스를 하나의 자동화 체계로 통합.
- 컨테이너 기반 배포: Docker/Kubernetes와 연계하여 컨테이너 이미지 빌드 및 배포 자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