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C
IaC(Infrastructure as Code, 코드형 인프라)는 물리적 혹은 가상 인프라 자원의 생성, 설정, 배포 과정을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사람이 수동으로 서버를 설정하거나 콘솔에서 클릭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선언형 또는 명령형 코드로 인프라를 일관되게 자동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IaC는 클라우드 환경, 컨테이너 기반 시스템, DevOps 환경에서 핵심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인프라 자동화, 버전 관리, 테스트 가능성 등의 이점을 제공하여 현대적 인프라 운영 패러다임을 혁신하였다.
주요 특징
- 인프라 자동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설정을 코드로 선언하여 자동 구축 가능
- 버전 관리 가능: 코드 기반이므로 Git 등의 VCS로 이력 관리 및 협업 가능
- 반복 가능성: 동일한 인프라를 여러 환경에 재현 가능 (테스트/스테이징/운영)
- 템플릿화 및 재사용성: 공통 설정을 모듈로 관리하여 유지보수 용이
- 불변 인프라 지향: 기존 환경을 수정하지 않고 새로 배포하여 일관성 유지
장점
- 운영 효율성 향상: 수작업 배포에서 발생하는 오류 제거, 시간 절약
- 인프라 일관성 확보: 어떤 환경에서도 동일한 설정으로 인프라 구성 가능
- 협업 강화: 인프라 설정을 코드화함으로써 개발자와 운영자 간의 경계 완화
- CI/CD 통합 용이: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 배포를 통합한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가능
- 보안 및 감사 대응 용이: 변경 이력을 코드와 로그로 남겨 컴플라이언스 대응 가능
관련 용어
- 선언형(declarative): ‘무엇’을 원하는지만 정의하고, ‘어떻게’는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하는 방식 (예: Terraform, Kubernetes YAML)
- 명령형(imperative): 실행 순서를 사람이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방식 (예: Ansible playbook, shell script)
- Terraform: 클라우드 인프라를 선언형 코드로 정의하고 배포하는 대표적인 IaC 도구
- CloudFormation: AWS 전용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한 서비스
- Pulumi: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로 IaC를 작성할 수 있게 한 도구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Terraform: 멀티클라우드 인프라 정의 및 관리가 가능한 오픈소스 IaC 도구
- Ansible: 에이전트 없는 구성 관리 및 자동화 도구. 반복 작업 및 초기 셋업에 강점
- AWS CloudFormation: AWS 리소스를 템플릿(YAML/JSON)으로 선언하고 자동 생성
- Pulumi: Python, Go 등으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할 수 있는 차세대 IaC 도구
- Chef / Puppet: 전통적인 구성 관리 도구로 복잡한 설정의 자동화 관리에 사용됨
- 사용 사례
- 멀티 환경 구축 자동화: 개발, 테스트, 운영 환경에 동일한 인프라를 빠르게 배포
- 클라우드 리소스 자동 생성: EC2, S3, VPC 등의 자원을 코드 기반으로 신속히 생성
- CI/CD 인프라 통합: 코드 변경 시 인프라도 함께 자동 배포되어 동기화 유지
- 구성 변경 롤백: 문제가 발생하면 이전 버전으로 즉시 복구 가능
- 보안 정책 적용 자동화: 인프라 배포 시 보안 그룹, IAM 정책 등을 자동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