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기록
의사결정 기록(Decision Logging)은 조직 내에서 이루어진 주요 의사결정의 배경, 참여자, 논의 내용, 선택한 안과 그 이유를 문서화하여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활동입니다. 단순 회의록과 달리 ‘무엇을 왜 결정했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이후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참고자료로 사용하거나, 결정의 정당성을 설명해야 할 상황에서 중요한 증거로 작용합니다. 특히 복잡한 프로젝트, 조직 간 협업, 장기 과제에서 일관성, 책임성, 투명성 확보에 기여합니다.
주요 특징
- 결정 중심 문서화: 단순 논의 내용이 아닌, 최종 결정과 선택 이유에 집중.
- 배경과 맥락 보존: 결정 당시 고려한 조건, 제약, 대안 등을 함께 기록.
- 버전 관리 가능: 시간이 지나면서 결정이 변경된 이력도 함께 추적 가능.
- 공유 및 재사용 용이: 팀 간 지식 이전, 유사 상황 재사용을 위한 자료로 활용.
- 책임성과 투명성 확보: 누가 무엇을 왜 결정했는지 명확하게 남김
장점
- 조직 내 일관성 유지: 동일 기준과 근거를 반복 적용해 혼선 방지.
- 지식 자산화: 개인의 판단이 아닌 조직의 경험과 학습으로 누적.
- 책임 분명화: 잘못된 결정이라도 당시 판단의 정당성을 입증 가능.
- 신입/외부자 온보딩 효율화: 과거 맥락 파악을 쉽게 도와줌.
- 장기 프로젝트 관리 용이: 시간 간격이 큰 결정 간의 연결과 흐름 유지 가능.
관련 용어
- Decision Log: 의사결정 이력을 일관된 양식으로 기록한 문서.
-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 해당 결정에 대해 책임을 지는 주체.
- 회의록(Meeting Minutes): 회의에서 오간 발언 및 결과를 요약한 기록.
- ADR(Architecture Decision Record): 소프트웨어 구조 관련 주요 결정 사항을 정리한 문서.
-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 프로젝트 종료 후 결정의 타당성과 결과를 돌아보는 활동.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Confluence: 회의록/결정 로그 템플릿 제공, 팀 단위 공유 및 버전 관리 용이.
- Notion: 협업형 문서 작성 도구로, 태그와 링크를 통해 의사결정 흐름 구조화 가능.
- Git + ADR Template: 소프트웨어 개발 시 코드와 함께 의사결정 이력을 관리.
- Google Docs: 빠른 기록과 공유가 가능하며, 변경 이력 추적 지원.
- Decision Log Add-on (for Jira, Trello 등): 이슈 트래킹 시스템과 연계한 결정 기록 확장 기능.
- 사용 사례
- 프로덕트 우선순위 결정 기록: 어떤 기능을 왜 먼저 개발하기로 했는지 배경과 논의 과정 기록.
- 기술 스택 선정: 특정 기술을 채택한 이유, 검토한 대안, 장단점 비교 등을 기록해 향후 기술 전환 참고.
- 정책 변경 이력: 내부 규정이나 운영 방식 변경 시, 변경 이유와 적용 시점 명시.
- 예산/투자 판단 근거 정리: 어떤 지출을 승인했는지, 기대 효과와 우려 사항 정리.
- 대외 협업 시 합의 이력 보관: 파트너사와의 결정 내용과 조건 정리해 분쟁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