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스크립트
수동 스크립트(Manual Script)란 자동화된 시스템 없이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거나 개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는 스크립트를 의미합니다. 일괄 처리, 반복 작업, 초기 설정, 서버 점검 등 다양한 IT 작업 환경에서 활용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 주체가 명확히 관여해야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일반적으로 쉘 스크립트(.sh), 파워셸 스크립트(.ps1), 배치 파일(.bat) 등으로 작성되며, 자동화가 어려운 환경이나 예외 처리가 자주 발생하는 운영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
- 사용자 주도 실행: 자동 트리거가 아닌 수동 실행을 전제로 작성됨
- 조건 분기 포함: 상황별 대응을 위한 조건문과 안내 메시지 포함
- 검토 후 실행: 시스템 변화가 크거나 위험할 수 있어 실행 전 검토 필수
- 수정 용이: 간단한 텍스트 편집으로 환경에 맞게 유연하게 수정 가능
- 단계적 명령 구성: 사용자에게 순서대로 실행을 유도하는 주석 및 에코 메시지 활용
장점
- 유연성 확보: 다양한 시스템 환경과 예외 상황에 대응 가능
- 리스크 제어 용이: 운영자가 상황에 따라 직접 판단하고 실행
- 디버깅 편리: 중간값 확인, 출력 메시지 삽입 등을 통해 오류 추적 용이
- 초기 구축 비용 낮음: 자동화 시스템 도입 전 간단하게 작업 처리 가능
- 학습 도구로 활용: 초급 운영자나 개발자가 명령어 흐름을 익히는 데 적합
관련 용어
- 자동화 스크립트(Automation Script): 트리거 조건에 따라 자동 실행되도록 구성된 스크립트
- 인프라 프로비저닝: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배포하는 과정, 수동 스크립트는 초기 형태로 자주 사용됨
- 실행 권한(Execution Permission): 리눅스/유닉스 계열에서 .sh 파일 실행 시 필요한 권한
- 에코(Echo): 스크립트 실행 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
- 리턴 코드(Return Code): 명령어 또는 스크립트가 성공/실패했는지 나타내는 수치 값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init-server.sh: 서버 초기 설정(패키지 설치, 사용자 생성, 포트 설정 등)
- backup-manual.sh: 특정 시점에 수동으로 백업을 수행하는 스크립트
- manual-cleanup.sh: 로그 정리, 캐시 삭제 등 정기적 점검 시 사용
- verify-service.sh: 서비스 상태를 직접 점검하고 로그를 확인하는 유틸리티 스크립트
- 사용 사례
- 운영자 점검용: 시스템 점검 시 체크리스트 기반으로 명령 실행
- 서버 초기 세팅: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서버에 SSH 접속 후 수동 구성
- 긴급 대응: 오류 상황에서 자동화보다 빠르게 수정 가능한 임시 대응 스크립트
- 테스트 및 학습용: 신규 개발자가 시스템 명령어와 흐름을 실습하는 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