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F Taxonomies

CNF Taxonomies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조직화하기 위해 정의된 계층적 분류 체계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딥러닝 기반의 자연어 처리(NLP) 인공지능 모델로, 문장 생성, 요약, 번역, 질의응답, 추론 등 다양한 언어 기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수십억~수천억 개의 매개변수(parameter)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전 학습(Pretraining)과 미세 조정(Fine-tuning) 과정을 통해 일반 언어 이해와 특정 작업 능력을 동시에 갖추게 됩니다.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BERT, Claude, LLaMA, KoGPT 등 다양한 LLM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에서 인간과 유사한 언어 처리 능력을 활용해 생산성 향상, 자동화, 창작 도구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초거대 파라미터: 수십억 개 이상의 파라미터로 사람 수준의 언어 이해와 생성 가능.
  • 범용성: 하나의 모델로 문서 생성, 코드 작성, 요약, 번역 등 다양한 작업 수행 가능.
  • 사전학습 기반: 대규모 공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언어 구조와 맥락 학습.
  • 프롬프트 기반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자연어로 요청하면 다양한 작업을 수행.
  • 지식 응답 능력: 학습된 정보 기반으로 질문에 답하거나 설명 가능.

장점

  • 생성 능력 탁월: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문장, 글, 코드 등 다양한 콘텐츠 생성 가능.
  • 범용 활용성: 고객 응대, 보고서 작성, 요약, 자동 번역 등 광범위한 업무에 적용 가능.
  • 자동화·효율화 기여: 반복적인 지식 노동을 줄여 조직의 생산성 향상.
  • 지식 기반 확장 가능: 파인튜닝이나 RAG 등으로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활용도 가능.
  • 대화형 인터페이스 제공: 프롬프트 기반으로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가능.

관련 용어

  • Transformer: LLM의 기반이 되는 딥러닝 아키텍처, Self-Attention 메커니즘을 활용.
  • GPT / BERT / LLaMA: 대표적인 대규모 언어 모델 시리즈.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입력 문장을 조정하는 기법.
  •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외부 지식 기반을 활용해 더 정확한 응답 생성 방식.
  • 파인튜닝(Fine-tuning): 특정 목적에 맞춰 사전학습된 모델을 추가 학습시키는 과정

주요 솔루션 및 사용 사례

  • 주요 솔루션
    • OpenAI GPT-4 / ChatGPT: 대화, 창작, 코드 생성 등 다양한 AI 서비스 제공.
    • Meta LLaMA: 오픈소스로 공개된 대규모 언어 모델 시리즈.
    • Google Gemini: 검색, 문서 작성, 코드 분석 등 구글 생태계 기반 LLM.
    • NAVER HyperCLOVA / 카카오 KoGPT: 한국어 특화 대규모 언어 모델.
    • Anthropic Claude: 윤리성과 안정성을 강조한 대화형 LLM.
  • 사용 사례
    • 지식 업무 자동화: 보고서 요약, 기획서 초안, 기술 문서 생성 등에 활용.
    • 챗봇 및 고객응대: 자연어로 고객의 문의사항을 응답하고 서비스 제공.
    • 코드 생성 및 디버깅: 개발자의 코드 작성 보조 및 오류 설명.
    • 검색 및 문서 질의응답: 문서 내 정보에 대해 자연어로 질문하고 답변 제공.
    • 콘텐츠 창작 지원: 소설 초안, 마케팅 문구, 이메일 작성 등 창작 영역 보조.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