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디플로이먼트 (Deployment): 애플리케이션 배포 표준

앞서 우리는 레플리카셋을 통해 쿠버네티스가 어떻게 지정된 수의 파드 복제본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레플리카셋은 분명 강력한 기능이지만,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다 보면 단순히 파드의 개수를 유지하는 것 이상의 정교한 관리가 필요해집니다. 바로 ‘애플리케이션의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버전으로 신속하게 되돌리는’ 작업들이죠.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주는 핵심 컨트롤러가 바로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입니다.

디플로이먼트는 레플리카셋의 기능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선언적 업데이트(declarative updates)와 롤백(rollback) 기능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입니다. 쉽게 말해, 레플리카셋이 파드의 ‘개수’를 관리하는 매니저라면, 디플로이먼트는 이 매니저(레플리카셋)들을 지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배포 방식’까지 관리하는 총괄 프로듀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레플리카셋만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업데이트한다고 상상해 볼까요? 아마도 새로운 버전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새 레플리카셋을 만들고, 기존 레플리카셋의 파드 수를 점차 줄이면서 새 레플리카셋의 파드 수를 늘리는 복잡한 수동 작업을 거쳐야 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중단이 발생할 수도 있고, 문제가 생겼을 때 다시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는 것은 더욱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디플로이먼트는 바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 줍니다. 우리는 디플로이먼트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줘” 또는 “이전 버전으로 되돌려줘” 라고 원하는 상태를 선언하기만 하면, 디플로이먼트가 알아서 내부적으로 레플리카셋을 생성하고 관리하며 점진적인 업데이트(롤링 업데이트)나 신속한 롤백을 수행합니다. 덕분에 우리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련된 복잡한 절차에서 해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경우, 사용자는 레플리카셋을 직접 생성하기보다는 디플로이먼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레플리카셋을 관리하게 됩니다.

이번 7.3장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배포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디플로이먼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입니다.

  • 먼저 7.3.1 디플로이먼트의 필요성 및 기능에서는 왜 우리가 레플리카셋만으로는 부족함을 느끼고 디플로이먼트를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디플로이먼트가 제공하는 핵심 기능들(예: 롤링 업데이트, 롤백, 배포 기록 관리 등)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디플로이먼트가 어떻게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혁신하는지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 이어서 7.3.2 디플로이먼트 명세 분석에서는 디플로이먼트를 정의하는 YAML 파일의 주요 필드들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어떻게 원하는 배포 전략(예: RollingUpdate 전략의 maxSurge, maxUnavailable 설정)을 설정하고, 파드 템플릿을 정의하며, 롤백을 위한 히스토리를 관리하는지 배우게 됩니다. 레플리카셋 명세와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디플로이먼트만의 고유한 설정값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7.3.3 [실습] 디플로이먼트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업데이트, 롤백에서는 직접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새로운 버전으로 변경하여 롤링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할 것입니다. 또한, 의도적으로 잘못된 이미지를 배포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의 안정적인 버전으로 신속하게 롤백하는 방법까지 손으로 익혀볼 것입니다. 이 실습을 통해 디플로이먼트의 강력한 기능을 체감하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디플로이먼트는 쿠버네티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이 장을 통해 디플로이먼트의 개념과 사용법을 확실히 익히신다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자신감 있게 다룰 수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