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F 블로그

CNF 블로그에서 최신 정보와 유용한 팁을 만나보세요. 다양한 콘텐츠와 전문 지식을 통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JBoss, Tomcat, JEUS, Weblogic, WebSphere 비교

기업용 WAS 선택은 기본적인 엔터프라이즈 기능뿐 아니라 클라우드·MSA 친화성과 운영 효율성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2025년 09월 08일

Podman 컨테이너 패러다임 | 새로운 시대의 전환

기업용 WAS 제품으로서 JBoss, WebLogic, WebSphere, JEUS, Tomcat 비교

기업 환경에서 WAS는 단순히 웹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넘어, 안정성, 확장성, 보안, 관리 용이성, 그리고 다양한 기업용 솔루션과의 연동을 요구합니다. JBoss, WebLogic, WebSphere, JEUS, Tomcat은 각기 다른 강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성이 달라집니다. 기업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이들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JBoss EAP (Red Hat) Oracle WebLogic Server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TmaxSoft JEUS Apache Tomcat
제조사 Red Hat (오픈소스 WildFly 기반) Oracle Corporation IBM 티맥스소프트 (TmaxSoft) Apache Software Foundation
특징 (기업용) – 오픈소스 유연성 + 상업적 지원
– 모듈형, 경량화 가능
– Jakarta EE 풀 스펙 지원
– Red Hat 생태계 통합
– 미션 크리티컬, 고성능, 고가용성
– Oracle DB 연동 최적화
– Jakarta EE 풀 스펙 지원
– 강력한 관리/모니터링
– 대규모/복합 시스템, IBM 솔루션 통합
– WebSphere Liberty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대응
– Jakarta EE 풀 스펙 지원
– 강력한 관리/보안
–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국내 특화
– 고성능, 고안정성, 트랜잭션 처리 강점
– Jakarta EE 풀 스펙 지원
– 전문적인 국내 기술 지원
– 경량, 빠른 시작, 단순성
– 서블릿/JSP 컨테이너
– 오픈소스, 비용 효율적
– 마이크로서비스/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안정성/고가용성 매우 높음 (EAP 기준) 최고 수준 최고 수준 매우 높음 낮음 (외부 솔루션 통합 필요)
확장성 뛰어남 (클러스터링, 모듈화) 뛰어남 (클러스터링) 뛰어남 (클러스터링, ND 에디션) 뛰어남 (클러스터링) 중간 (클러스터링 가능, 기능 제한)
보안 강력함 (Red Hat 지원) 최고 수준 최고 수준 강력함 기본적 (추가 설정 및 연동 필요)
관리/모니터링 웹 콘솔, CLI (JMX 기반) 웹 콘솔 (Administration Console), WLST 웹 콘솔 (ISC), Liberty Dashboard 웹 콘솔 (JEUS Manager) 간소한 웹 UI, JMX (외부 툴 연동)
표준 지원 Jakarta EE 8/9 (Full Profile) Jakarta EE 8 (Full Profile) Jakarta EE 8 (Full Profile), MicroProfile (Liberty) Jakarta EE 8 (Full Profile) Servlet, JSP, WebSocket (Web Profile)
비용 유료 (EAP), 무료 (WildFly) 유료 (라이선스, 유지보수) 유료 (라이선스, 유지보수) 유료 (라이선스, 유지보수) 무료 (오픈소스)
MSA 호환성 높음 (모듈형, Quarkus 연계) 중간 (경량 프로필, Kubernetes Operator) 높음 (Liberty 중심, MicroProfile) 중간 (경량화 및 Spring 연동) 매우 높음 (경량, 내장 WAS)
클라우드 네이티브 매우 높음 (OpenShift 최적화) 높음 (OCI, Kubernetes Operator) 높음 (Liberty, IBM Cloud Pak) 중간 (컨테이너화, TmaxCloud) 매우 높음 (Docker, Spring Boot)
쿠버네티스 연관성 강력함 (Operator 패턴, OpenShift) 강력함 (WebLogic Kubernetes Operator) 강력함 (Liberty Operator, OpenShift) 높음 (JEUS Kubernetes Operator 개발) 매우 높음 (Deployment, Service)

기업의 요구사항, 기술 스택, 예산, 그리고 내부 운영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WAS를 선택해야 합니다. 대규모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에는 WebLogic, WebSphere, JEUS, JBoss EAP와 같은 풀 스택 WAS가 적합하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나 경량화된 웹 서비스에는 Tomcat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개별 WAS 제품 심층 비교

이제 각 WAS 제품에 대해 제조사, 출시일, 주요 특징, 패키지, 그리고 최신 기술과의 호환성 및 관련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JBoss (Red Hat JBoss EAP)
  • 제조사: Red Hat (초기 JBoss Group)
  • 최초 출시 일자: 1999년 (오픈소스 JBoss AS 기준)
  • 현재 최신 버전 (JBoss EAP): 2024년 4월 기준, JBoss EAP 7.4 또는 8.0 Beta (LTS 버전은 7.4)

JBoss는 본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Java EE(현재 Jakarta EE) 표준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WAS였습니다. 현재는 Red Hat에 인수되어 상업용 제품인 Red Hat JBoss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EAP)과 커뮤니티 버전인 WildFly로 분리되어 발전하고 있습니다.

JBoss EAP의 가장 큰 특징은 오픈소스의 유연성과 엔터프라이즈급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Red Hat의 전문적인 기술 지원을 통해 미션 크리티컬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Jakarta EE 8 및 9(일부) 표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며, EJB, JPA, JMS, JAX-RS 등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스펙을 지원합니다.

또한, JBoss EAP는 모듈형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어 필요한 서비스만 로드하여 WAS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서 각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한의 런타임을 제공하는 데 유리합니다. 관리 콘솔(Web Console)을 통해 WAS 인스턴스, 애플리케이션 배포, 데이터 소스 설정, JMS 자원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JBoss EAP는 다양한 설치 옵션을 제공합니다. 주로 ZIP 아카이브 형태로 배포되어 원하는 디렉토리에 압축을 해제하여 사용하거나, RPM 패키지를 통해 리눅스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웹 서버 기능(Undertow), 서블릿 컨테이너, EJB 컨테이너, JPA 구현체(Hibernate), JMS 브로커(ActiveMQ Artemis)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JBoss EAP는 최신 기술 스택과의 호환성 및 관련성이 매우 높습니다.

  •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JBoss EAP의 모듈형 아키텍처는 MSA에 적합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경량화하여 각 마이크로서비스에 필요한 런타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Spring Boot와 같은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하여 MSA 환경을 구축할 때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Red Hat은 Quarkus와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런타임을 통해 MSA 개발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JBoss EAP는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배포 및 운영을 지원합니다. 컨테이너 이미지(Docker)로 패키징하여 배포하기 용이하며, 클라우드 환경의 동적인 자원 할당 및 스케일링 요구사항에 부응합니다. Red Hat OpenShift와 같은 컨테이너 플랫폼과의 통합이 매우 강력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쿠버네티스 (Kubernetes):
    JBoss EAP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Red Hat OpenShift는 쿠버네티스 기반의 플랫폼으로, JBoss EAP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관리, 스케일링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Operater 패턴을 사용하여 WAS 인스턴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자동 스케일링, 고가용성 구성 등을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2. Oracle WebLogic Server
  • 제조사: Oracle Corporation (초기 BEA Systems)
  • 최초 출시 일자: 1996년 (WebLogic Server 1.0)
  • 현재 최신 버전: 2024년 4월 기준, WebLogic Server 14c (14.1.1.0)

Oracle WebLogic Server는 미션 크리티컬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업용 WAS 중 하나입니다. 강력한 성능, 뛰어난 안정성, 그리고 풍부한 엔터프라이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WebLogic은 특히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분산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관성, 그리고 고가용성 요구사항이 높은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WebLogic은 Jakarta EE 표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며, EJB, JPA, JMS, JTA 등 모든 엔터프라이즈 컴포넌트를 강력하게 지원합니다. 또한, 자체적인 트랜잭션 관리자, JDBC 드라이버, JMS 브로커를 내장하여 시스템 통합 및 관리가 용이합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Oracle Database)와의 연동에 있어 최적화된 성능과 기능을 제공합니다.

관리 측면에서는 강력한 WebLogic Server Administration Console을 제공하여 도메인, 서버,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소스, JMS 자원 등을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WLST(WebLogic Scripting Tool)를 통해 스크립트 기반의 자동화된 관리 작업이 가능합니다.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기능과 다양한 서드파티 솔루션과의 연동성도 WebLogic의 큰 장점입니다.

WebLogic Server는 설치 관리자(Installer)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실행하여 시스템에 설치합니다. 설치 시에는 Java Development Kit(JDK)이 필요하며, 웹 서버, EJB 컨테이너, JMS 서버, JPA 구현체 등 Jakarta EE 표준 스펙을 위한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다양한 에디션(Standard Edition, Enterprise Edition)이 있으며, 제공하는 기능과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Oracle WebLogic Server는 전통적인 엔터프라이즈 WAS임에도 불구하고, 최신 기술 트렌드에 발맞춰 진화하고 있습니다.

  •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WebLogic Server는 전통적으로 모놀리식 아키텍처에 강점을 보였지만, WebLogic Server 12c 이후로 경량화된 프로필과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특히, “WebLogic on Kubernetes” 전략을 통해 각 마이크로서비스를 WebLogic Server 인스턴스로 컨테이너화하여 배포하는 방식을 지원합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Oracle은 WebLogic Server를 Oracle Cloud Infrastructure(OCI)를 비롯한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WebLogic Kubernetes Operator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WebLogic 클러스터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Cloud Native Buildpack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이미지로 자동 빌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쿠버네티스 (Kubernetes):
    Oracle WebLogic Kubernetes Operator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WebLogic Server 도메인을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WebLogic 클러스터의 생성, 스케일링, 업데이트, 패치 적용, 고가용성 구성 등을 쿠버네티스의 선언적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WebLogic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화 및 오케스트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합니다.
3.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 제조사: IBM
  • 최초 출시 일자: 1998년
  • 현재 최신 버전: 2024년 4월 기준,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9.0 (Traditional WAS), WebSphere Liberty 24.0.0.3 (Continuous Delivery)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WAS)는 IBM의 대표적인 엔터프라이즈 WAS로, 대규모 복합 시스템 환경과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WebLogic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안정성, 확장성, 보안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IBM의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DB2, MQ, CICS 등)과의 통합이 매우 강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WebSphere WAS는 Jakarta EE 표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며, EJB, JPA, JMS, JTA 등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모든 엔터프라이즈 스펙을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트랜잭션 모델과 분산 환경에서의 강력한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관리 측면에서는 WebSphere Integrated Solutions Console (ISC)이라는 웹 기반 관리 콘솔을 통해 서버,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보안 메커니즘과 WLM(Workload Management)을 통한 지능적인 로드 밸런싱 기능도 제공합니다.

IBM은 또한 경량화되고 모듈화된 WAS인 WebSphere Liberty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요구사항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Liberty는 빠른 시작 시간과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자랑하며, 필요한 기능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는 다양한 에디션(Base, Network Deployment 등)으로 제공되며, 주로 설치 마법사 또는 IBM Installation Manager를 통해 설치됩니다. 패키지에는 웹 컨테이너, EJB 컨테이너, JPA 구현체, JMS 엔진 등 Jakarta EE 표준 스펙을 위한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WebSphere Liberty는 압축 파일 형태로 배포되어 간단하게 압축을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IBM WebSphere는 전통적인 WAS와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런타임인 Liberty를 통해 최신 기술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WebSphere Liberty는 MSA 개발에 최적화된 런타임입니다. 빠른 시작 시간과 낮은 메모리 사용량으로 각 마이크로서비스에 개별적으로 배포하기에 적합하며, MicroProfile 스펙을 지원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용이하게 합니다. 전통적인 WebSphere WAS도 최신 버전에서는 MSA 패턴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WebSphere Liberty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런타임으로 사용됩니다. 컨테이너 이미지로 쉽게 빌드되고 배포될 수 있으며, 동적인 클라우드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확장 및 축소될 수 있습니다. IBM Cloud Pak for Applications는 WebSphere를 포함한 IBM 미들웨어를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 쿠버네티스 (Kubernetes):
    WebSphere Liberty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됩니다. WebSphere Liberty Operator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Liberty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스케일링, 고가용성, 모니터링 등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WebSphere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예: Red Hat OpenShift, IBM Cloud Satellite)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4. TmaxSoft JEUS (Java Enterprise User Solution)
  • 제조사: 티맥스소프트 (TmaxSoft)
  • 최초 출시 일자: 2000년 (JEUS 3.0)
  • 현재 최신 버전: 2024년 4월 기준, JEUS 8 (8 Fix Pack 2 이상)

JEUS는 티맥스소프트에서 개발한 대한민국 대표 엔터프라이즈 WAS입니다. 국내 시장 점유율이 매우 높으며, 국내 기업 환경에 특화된 기능과 안정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대규모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 등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JEUS는 Jakarta EE 표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며, EJB, JPA, JMS, JTA 등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스펙을 지원합니다. 특히,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와 뛰어난 안정성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대규모 동시 사용자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자체적인 트랜잭션 관리자(JTA)와 메시지 브로커(JMS)를 내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에 강점을 가집니다.

관리 측면에서는 JEUS Manager라는 웹 기반 관리 콘솔을 제공하여 도메인, 서버,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등을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 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관리 기능과 상세한 모니터링 지표를 제공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또한, 강력한 보안 기능과 자체적인 로드 밸런싱 기능을 통해 고가용성을 확보합니다.

JEUS는 설치 관리자(Installer)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실행하여 시스템에 설치합니다. 설치 시에는 Java Development Kit(JDK)이 필요하며, 웹 컨테이너, EJB 컨테이너, JMS 서버, JPA 구현체 등 Jakarta EE 표준 스펙을 위한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다양한 에디션(Standard Edition, Enterprise Edition)이 있으며, 제공하는 기능과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JEUS는 국내 WAS 시장의 강자로서, 최신 기술 트렌드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JEUS는 전통적인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습니다. 경량화된 프로필과 빠른 시작 시간을 제공하여 각 마이크로서비스에 적합한 런타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Spring Boot와 같은 프레임워크와의 연동을 통해 MSA 개발을 지원합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티맥스소프트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JEUS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이미지(Docker)로 JEUS를 패키징하여 배포하는 것을 지원하며, 클라우드 환경의 동적인 자원 관리 및 스케일링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티맥스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TmaxCloud)과의 통합을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돕습니다.
  • 쿠버네티스 (Kubernetes):
    JEUS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JEUS Kubernetes Operator를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JEUS 서버의 배포, 스케일링, 고가용성 구성, 모니터링 등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JEU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기반의 프라이빗 또는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5. Apache Tomcat
  • 제조사: Apache Software Foundation
  • 최초 출시 일자: 1999년
  • 현재 최신 버전: 2024년 4월 기준, Apache Tomcat 10.1 (Jakarta EE 10), Apache Tomcat 9.0 (Jakarta EE 8)

Apache Tomcat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서블릿 컨테이너이자 경량 WAS입니다. Java 애플리케이션, 특히 웹 서버 기능과 서블릿/JSP 기반의 동적인 웹 콘텐츠 제공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다른 엔터프라이즈 WAS와 달리 Jakarta EE의 모든 스펙을 구현하지는 않으며, 주로 서블릿(Servlet), JSP(JavaServer Pages), WebSocket, JASPIC 등 웹 관련 스펙에 중점을 둡니다.

Tomcat의 가장 큰 특징은 가벼움, 빠른 시작 시간, 그리고 단순성입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개발 환경에서 매우 인기가 많으며, 소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각 서비스 인스턴스에 개별적으로 배포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픈소스이므로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초기 도입 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

Tomcat은 자체적인 관리 콘솔이 다른 WAS만큼 풍부하지는 않지만, manager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모니터링은 JMX를 통해 이루어지며, 외부 모니터링 툴과의 연동이 활발합니다. 경량이지만 HTTP/1.1 및 HTTP/2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SSL/TLS를 통한 보안 통신도 가능합니다.

Tomcat은 ZIP 또는 tar.gz 아카이브 형태로 배포되며, 단순히 압축을 해제하고 설정 파일을 수정한 후 실행 스크립트를 통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이 매우 간단하며, 필요한 경우 WAR(Web Application Archive) 파일을 webapps 디렉토리에 배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 Apache Tomcat은 내장형 웹 서버(Coyote), 서블릿 컨테이너(Catalina), JSP 엔진(Jasper)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Apache Tomcat은 경량의 특성 덕분에 최신 기술 트렌드와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집니다.

  •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Tomcat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가장 적합한 런타임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각 마이크로서비스를 별도의 Tomcat 인스턴스에 배포하거나, Spring Boot와 같은 프레임워크에 내장된 Tomcat을 사용하여 단일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패키징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시작 시간과 적은 메모리 사용량은 마이크로서비스의 효율적인 배포 및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Tomcat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런타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경량화하여 컨테이너 이미지(Docker)로 패키징하기 용이하며, 클라우드 환경의 동적인 자원 할당 및 스케일링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특히, Spring Boot와 같은 프레임워크와 결합될 때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 쿠버네티스 (Kubernetes):
    Tomcat 애플리케이션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로 매우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Docker 이미지를 통해 Tomcat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빌드하고, Deployment, Service, Ingress 등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활용하여 배포, 로드 밸런싱, 스케일링, 고가용성 등을 구현합니다. 경량의 특성 덕분에 컨테이너 오버헤드를 줄이고 자원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WAS를 선택할 때는 단순한 사양 비교를 넘어 제품의 생태계와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엔터프라이즈 기능(트랜잭션, 보안, 클러스터링)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2025년 이후에는 컨테이너 친화성, 마이크로서비스 지원, 관찰성, 자동화된 업데이트, 신규 Java 기능 같은 요소가 더 큰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위 비교를 통해 각 제품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면, 조직의 요구에 적합한 WAS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제 나도 MSA 전문가 개념부터 실무까지

Share This Story, Choose Your Platform!

Go to Top